카테고리 없음

시민단체의 6.2 지방선거 참여 고민??)

송재봉 2010. 2. 18. 18:32

 지방선거가 가까워 오면서 이명박 정부의 일방통행식 역주행에 놀란 시민사회 단체 회원과 시민운동가들 사이에서 지방선거 참여문제가 화두로 떠올랐다.

MB정부의 잘못된 민주주의 후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지방정치 영역부터 변화시켜야 한다는 소명의식도 크게 작용하고 있다. 아무리 주장해도 듣지않고 무시하고 민관 거버넌스는 실종되고 시민단체의 주변을 고립시키려는 의도가 노골화 되고 있어 시민단체의 분노와 위축이 동시에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시민운동가들의 경우 좋은 사회를 만들고 싶다는 열정과 헌신의 자세는 가지고 있지만 
이러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정치에 직접 참여해서 스스로가 현실정치의 주체된다는 생각은 별로 하지 않아 왔다.
시민단체가 고민하고 시민을 위한 좋은 정책을 내어 놓으면 정치권이든 공무원이든 좋은 뜻을 가지고 있는정치권이 수용해서 집행해 주기를  기대해온 것이었다. 
 
 그런에 이명박 정부 집권이후 이러한 선순환의 정책파트너십을 형성할 길이 봉쇄되면서 무언가 새로운 모색을 하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에 내몰리고 있다.
 문제는 정치가 세상을 바꿀수 있는 매우 중요한 길임을 잘 알지만 고양이 목에 방울 달기식으로 나는 안할테니 누군가가 나서서 잘해주면 옆에서 돕겠다는 정서가 일반적이다. 그러다 보니 필요성에 대한 논의는 무성해도 정작 새로운 정치를 위해 자신을 던지고 뛰어드는 시민운동가는 극소수에 불과하다. 

 정치를 혐오해서가 아니라 정치권으로 건너가는 것이 두려운 것이다. 어쩌면 정치적 중간지내에 오랬동안 남아있으면서 본인들은 부정해도 현실에 안주하고 싶은 그래서 새로운 변화된 상황과 조건에 나 자신을 던지기 두려운 것도 있는 것 같다. 말로는 개혁과 진보를 주장하나 이를 주장하는 인물들도 정치의 체질 변화를 위해 자신을 던져야하는 실천은 무족한 것이다.

 그러나 어쩌겠는가 이것이 현실인걸, 정치를 처음 부터 잘 할 수 있는 사람이 어디 있겠는가? 정말 정치를 잘 할 수수 있는 사람은 우리사회에서 매우 극소수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남의 말을 잘 들을 수 있는 능력, 갈등을 조절하고 중재하고 자신을 양보하면서도 공익을 지키는 타협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역량을 보여줄 수 있는 인물......
 잘나고 똑똑한 사람들로 구성된 국회의 모습이 정치를 잘하는 것하고는 거리가 멀다는 것이 우리 헌정사를 통해 드러난 것이 아닌가?
 열린귀로 남의 말을 잘 들을 수 있는 사람들이 6.2 지방선거를 통해 지방정치에 많이 진출했으면 좋겠다는 희망을 갖는다.